우리나라는 새해 첫날 떡국을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선조들은 설날 떡국을 먹으며 건강과 장수를 누리고 재물복을 비는 소망을 빌었다고 합니다. 설날이 며칠 남지 않았는데 떡국 만들 준비 다 되셨나요?
오늘은 떡국의 유래와 의미, 만드는 법에 대해 글을 적어보겠습니다.
떡국의 유래
떡국이란 손으로 길게 만든 흰 가래떡을 썰어서 말은 장국에 넣고 끓인 음식입니다. 떡국은 고려 시대 이전부터 먹기 시작했다고 전해져 내려옵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주식은 쌀밥이지만 고려 시대 이전에는 떡이 주식이었다고 하지요. 먹을 것이 부족했던 시기에, 적은 양으로도 나누어 먹을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떡을 그냥 두게 되면 마르기 때문에, 부드럽게 먹으려고 국물에 넣어 끓여먹는 형태가 떡국이 되어 이어져왔다고 합니다.
새해에 떡국을 먹는 풍습은 상고시대(고조선 시대)에 신년 제사 음식으로 먹기 시작하면서 유래된 것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음복 음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차례상에 떡국을 올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사 후 온 가족이 모여 떡국으로 음복 음식을 먹는 전통이 이어져서 새해마다 떡국을 먹는 풍습이 생겼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고려 시대의 떡국의 국물을 만드는 주재료는 원래는 꿩고기였습니다. 당시 꿩고기는 일반 백성들은 먹을 수 없는 고급 음식이어서, 꿩고기 대신 닭고기로 떡국의 육수를 만들었습니다. 지금은 쇠고기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것은 쇠고기를 쉽게 구하게 된 이후 변화된 모습입니다.
조선 후기에는 떡국의 떡이 희고 국물도 흰색이어서 백탕이라고 불렀다고도 합니다.
떡국은 지역마다 특색이 다릅니다. 개성에서는 조랭이떡국, 강원도는 만두 떡국, 충청북도는 미역 생떡국, 충청남도는 구기자 떡국, 전라북도는 두부 떡국, 전라남도는 닭장 떡국, 경상북도는 태양 떡국, 경상남도는 멸치 떡국을 먹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떡국의 의미
1. 새로운 시작
설날은 새로운 시작일을 의미합니다. 한 해를 보내고 맞이한 새해 첫날인 설날에 몸과 마음을 청결히 하자는 의미를 담아 새하얀 떡과 흰 국물로 만든 떡국을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2. 무병장수
가래떡은 길쭉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래떡처럼 길고 오래 살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떡은 끊기지 않고 길게 뽑을수록 좋다고 하여 가래떡을 뽑을 때 최대한 길게 뽑는다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
3. 재물 기원
길쭉한 가래떡을 동그란 엽전 모양으로 썰어 엽전이 불어나듯 재산도 불어나길 바랐습니다. 떡국의 모양이 엽전과 비슷해서 떡국을 먹으며 집안의 재물이 풍족해지길 기원했다고 합니다.
떡국 만드는 법
재료는 떡국떡, 육수, 간장, 소금, 고명용 계란, 고기, 파 등이 필요합니다. 기호에 따라 만두를 넣어 떡만둣국으로 만들어 먹으면 더 풍성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1. 먼저 떡을 미리 30분 정도 미지근한 물에 불려놓습니다.
2. 떡국에 올릴 소고기 고명을 만들어 놓습니다. (소고기가 없다면 소고기 고명은 생략)
다진 고기는 키친타월 위에 고기를 올려놓고 꾹꾹 눌러가면서 핏물을 최대한 제거해 준 후, 밑간을 합니다. 진간장, 설탕, 다진 마늘, 후춧가루를 적당히 넣고 조물조물 섞어서 버무려 줍니다. 밑간을 한 다진 소고기를 달군 판에 참기름을 0.5스푼 정도 넣고 달달 볶아줍니다. 완전히 익으면 따로 그릇에 담아 줍니다.
3. 육수를 준비합니다. 사골육수가 없다면 간단하게 멸치와 다시마와 대파로 멸치육수를 만들어보세요, 사골육수보다 가볍고 맑고 깔끔한 국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국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줍니다. 뭔가 심심하다면 추가적으로 멸치 액젓이나 참치 액젓을 반 스푼 넣어주면 좀 더 풍성한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4. 육수를 불에 올려 끓기 시작하면 떡을 먼저 넣고 끓여줍니다. 떡이 거의 익으면 파를 넣어주고, 불을 끄고 그릇에 옮겨 계란 지단과 소고기 고명을 올려 먹음직스럽게 떡국을 완성합니다.
떡국에 넣는 달걀은 지단 만들기를 하기도 하지만 더 간단하게 하려면 달걀국을 만들듯이 풀어 넣으면 간편하고 훨씬 보들보들한 식감을 낼 수 있습니다. 기호에 따라 김가루를 올려주면 더 맛있습니다.
우리 모두 집에서 맛있는 떡국 끓여 먹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